top of page
Interface Designer in the Office

Elements info

  • 양자통신에 사용되는 소자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 ​큐심프로 블록들은 각 소자들의 특성을 반영합니다. 

빔 스플리터

(Beam Splitter)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는 입사광(incident light)을 반사광(reflected light)과 투과광(transmitted light)으로 분할합니다. 반사율(reflectance)과 투과율(transmittance)에 따라 반사광과 투과광의 비율이 달라집니다. 보통 반사율과 투과율이 같은 50:50 빔 스플리터를 주로 사용합니다.

편광 빔 스플리터

(Polarizing Beam Splitter)

395x203_optical_pbs.png

편광 빔 스플리터(Polarizing Beam Splitter)는 입사광을 P-편광된 빛(P-polarized light)과 S-편광된 빛(S-polarized light)으로 분할합니다. 여기서 P-편광이란 입사 평면(Plane of Incidence)과 평행한 편광을 말하고, S-편광이란 입사 평면과 수직인 편광을 말합니다.

편광판

(Polarizer)

qsimpro.jpg

편광판(polarizer)은 특정 편광의 빛을 통과시키고, 그 빛과 수직한 편광의 빛은 차단합니다.

패러데이 거울

(Faraday Mirror)

395x203_optical_fmirror.png

패러데이 회전자(Faraday Rotator)는 편광을 회전시킵니다. 패러데이 거울(Faraday Mirror)은 편광을 45°만큼 회전시키는 패러데이 회전자와 거울을 연결한 소자입니다. 패러데이 회전자에 의해 45°만큼 회전된 편광이, 거울에 반사되어 다시 패러데이 회전자를 지나면서 45°가 더 회전되어, 입사 편광보다 90° 회전된 편광된 빛으로 나가게 됩니다.

파장판

(Waveplate)

qsimpro.jpg

파장판(waveplate)은 두 수직한 편광 성분들 사이에서 위상 편이(phase shift)시켜 빛의 편광 상태를 바꾸어주는 장치로 위상 지연기(retarder)라고 부릅니다. 두 수직한 편광 성분들 사이의 상대 위상차가 π 라디안이 되도록 만든 파장판을 반파장판(Half-Wave Plate)이라고 하며, π/2 라디안이 되도록 만든 파장판을 1/4 파장판(Quarter-Wave Plate)라고 합니다.

광섬유

(Optical Fiber)

qsimpro.jpg

광섬유(optical fiber)는 빛을 전송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섬유입니다. 광섬유에서 빛이 지나가는 중심 부분인 코어(core)의 직경이 매우 작아서, 빛의 전파 모드(propagation mode)가 한 가지뿐인 광섬유를 단일 모드 광섬유(Single-Mode Fiber)라고 합니다. 편광 유지 광섬유(Polarization-Maintening Fiber)는 단일 모드 광섬유의 일종으로, 무작위로 편광된 빛을 전달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와 달리, 빠른축(fast axis) 또는 느린 축(slow axis)에 정렬된 편광은 변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편광 조절기

(Polarization Controller)

qsimpro.jpg

편광 조절기(Polarization Controller)는 빛의 편광 상태를 바꾸어주는 장치입니다. 유선상에서 여러 개의 파장판을 조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광 서큘레이터

(Optical Circulator)

395x203_optical_cir.png

광 서큘레이터(optical circulator)는 특정 방향으로만 빛이 지나가게 하는 장치입니다. port1으로 입사한 빛은 port2로만 출력되며, port2로 입사한 빛은 port3로만 출력되고, port3로 입사한 빛은 port1으로만 출력되는 장치입니다.

위상 변조기

(Phase Modulator)

395x203_optical_pm.png

위상 변조기(Phase Modulator)는 빛의 위상을 바꾸어주는 장치입니다. 위상 변조기에 전압을 걸어주면 복굴절이 유도되고, 유도된 복굴절에 의해 위상 편이가 발생합니다. 광강도 변조기(Intensity Modulator)는 빛의 강도를 변조시키는 장치입니다. 위상 변조기와 마찬가지로 전압을 걸어주면 복굴절이 유도되고, 유도된 복굴절에 의해 위상 편이가 발생합니다. 위상 편이가 발생한 빛이 광강도 변조기 내에 있는 마하 젠더 간섭계(Mach-Zehnder Interferometer)에 의해 간섭하여 빛의 강도가 변하게 됩니다.

bottom of page